사측, 기본급 9만5천원 인상안 제시…노조 “조합원 기대 못 미쳐” 거부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현대자동차 노동조합(금속노조 현대차지부)이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난항으로 오는 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에 돌입한다.
오전 출근조와 오후 출근조는 3일과 4일에는 2시간씩, 5일에는 4시간 파업할 예정이다.
현대차 노조는 2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분 파업이든, 전면 파업이든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7년 만이다
현대차 노사는 2019년부터 코로나19 대유행, 일본의 백색 국가(화이트 리스트·수출 우대국) 제외 조치에 따른 한일 경제 갈등 상황 등을 고려하고, 이후 실적에 걸맞은 성과 보상을 하면서 지난해까지 6년 연속 파업 없이 단체교섭을 마무리했다.
올해는 노사가 지난 6월 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20차례 교섭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2일 열린 교섭에서 월 기본급 9만5천원 인상, 성과금 400%+1천40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주식 30주 지급, 일부 수당에 통상임금 확대 적용 등 2차 안을 내놓았으나 노조는 조합원 기대를 충족하기에 미흡하다고 판단해 거부했다.
앞서 노조는 올해 기본급 14만1천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소득 공백 없는 정년 연장(최장 64세),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인상 등을 요구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노조가 파업 일정을 잡았으나 회사와 교섭은 이어간다.
올해 노사 간 최대 쟁점은 임금 인상 규모와 정년 연장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회사가 지난해 영업이익 14조2천396억원을 올리고 올해 2분기 매출은 7.3%(작년 대비) 증가한 데다가 미국 관세가 당초 25%에서 15%로 낮아진 만큼 임금 인상 요인이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사 측은 여전한 미국 관세 압박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등으로 올 하반기 영업이익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년 연장을 놓고 노조는 매년 2천명이 넘는 조합원이 정년퇴직하는 상황을 고려하고 우리나라 대표적인 제조업체로서 현대차가 사회적 과제를 선제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사 측은 정부와 정치권에서 먼저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태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 통상임금 확대, 주 4.5일제 도입, 과거 투쟁 과정에서 해고된 조합원 복직 등으로 두고도 올해 교섭에서 노사가 갈등을 겪고 있다.
현대차는 “교섭 안건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노조가 파업을 결정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불필요한 소모전을 지양하고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ant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9월02일 19시21분 송고